최근 원달러환율이 급상승하면서 많은 이들이 불안해 하는 반면 국내 수출기업들의 수출 신장에는 도움이 될 거라는 주장이 여전히 심심찮게 나온다. 하지만 그 같은 주장은 최근까지 진행된 원달러환율의 성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소치라고 본다.

2014년 7월을 저점으로 최근까지 진행된 원달러 환율은 원화 약세라기보다는 달러강세라고 표현하는 게 더 적절하기 때문이다. 환율 급등은 미국 양적 완화 종료와 금리 인상 흐름 속에 강달러가 지속되면서 한국 원화라는 거울에 비친 이미지에 가까웠다. 즉 이 기간에 원화뿐만 아니라 다른 거의 모든 국가들 화폐 가치가 달러 대비 약세를 보였다. 특히 이 기간 양적완화를 확대한 유로존의 유로화와 일본 엔화는 한국 원화 대비로도 더 약세를 보였다. 양상이 이렇다 보니 원달러환율이 뛴다고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처럼 수출이 잘 된다는 정부나 상당수 언론의 주장이 설득력이 없다고 이미 지적한 바 있다. 이후 상황은 실제로 그런 방향으로 전개돼 왔고 미국의 꾸준한 금리 인상이 진행될 것으로 보이는 향후 몇 년간도 큰 틀에서 그럴 것이다.

다른 수출 경쟁국들의 화폐 가치도 떨어지는 셈이니 (심지어 일본은 우리보더 더 가파른 약세) 미국이나 중국 등 수출시장에서 우리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이 특별히 더 생길 리가 없다. 더구나 중국을 제외한 EU와 일본의 경우에는 원화가 해당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강세를 띤 셈이니 오히려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더 악화된 셈이다. 대체로 미국 달러에 연동돼 강세를 띠어온 중국의 경우도 최근에는 위안화 가치 절하에 나선 상태인데다 자국내에서 한국 기업의 경쟁자들이 급부상해 역시 한국 수출이 급감하게 된.

다만 같은 수출을 하더라도 원화 환산 수출실적이 늘어나는 효과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마저도 세계경제의 전반적인 침체와 한국 주력산업의 위축으로 그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다. 물론 최근 한 달 여 사이에 벌어진 원달러환율 상승은 외국인 단기 투자자금의 급격한 유출에 따른 측면이 크고 다른 주요국 화폐에 비해 약세를 띠기도 한다. 하지만 적어도 지금까지는 이를 수출 증대보다는 위기의 징후로 읽는 것이 더 정확한 해석일 것이다.

어쨌거나 이미 재벌독식구조와 부동산 거품-가계부채 급증으로 내수가 죽은지 오래됐는데, 수출마저 이런 상태면 한국경제가 기댈 곳이 어딜까 하는 생각도 든다. 국내 언론들은 중국경제가 단기적으로는 붕괴할 것처럼 떠들지만, 오히려 구조개혁 과정의 성장통에 가까우며 중장기적으로는 중국경제는 상대적 고성장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단기적으로 중국 경제는 상당한 침체를 겪고 있지만, 중국은 수출과 건설-설비투자 중심의 경제구조를 내수와 서비스 위주 경제구조로 전환하면서 체질을 개선하고 있다. 일자리와 소득이 여전히 7~9% 대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 지도부도 이런 저런 실수를 많이 하지만 대체로 구조개혁이라는 과제만큼은 한국보다 훨씬 잘해내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경제를 살린다"는 명분으로 재벌 대기업 위주의 경제 운용과 부채를 동원한 부동산 거품을 계속 조장해왔다. 땜질식 처방, 언 발에 오줌누기식 처방을 계속해왔다. 그 결과 이제 재벌 대기업들의 성장도 한계에 이르렀고, 부동산은 사상 최대의 부채를 배경으로 현상적으로 잠깐 살아난 것처럼 보이는 단계에 왔다. 최경환부총리 등 당국자들은 "부동산시장을 살렸다"고 너스레를 떠는데, 실은 부동산시장을 억지로 살리려고 다른 모든 경제를 죽이는 과정이었다. 그런데 다른 모든 경제가 죽어가고, 집을 사줄 가계의 체력이 바닥나는데 부동산 거래가 지속될 수 있을까. 어제 쓴 글에서 설명했지만, 부동산 거래도 내년 초 정도를 고비로 내리막길을 가능성이 높다. 이미 목이 따갑도록 얘기했지만, 땜질식 처방이 아닌 정책 기조를 전면적으로 바꾸는 구조 개혁을 이제라도 해야 한다. 그래야 위기를 기회로 삼을 수 있다.



출범 3주년과 <슈퍼차이나 리포트> 론칭 기념 파격 이벤트 종료(9월 15일), 일주일 남았습니다. <저성장시대, 세계경제의 큰흐름에서 찾는 투자의 기회> <5대 경제이슈 정리 긴급특강> 3종 혜택 기본 제공!

 http://www.sdinomics.com/data/notice/4328



by 선대인 2015. 9. 8. 10:52


이미 많은 보도가 이어졌지만, 건설업체들은 ‘사상 최대의 밀어내기 분양’을 실시하고 있다. <그림1>에서 보듯이 아파트 분양물량은 2011년 26.3만 가구에서 2014년에는 33.1만 가구로 늘었다. (참고로, <그림1>에 나타난 분양물량은 일정한 규모 이상의 분양물량만 집계한 것으로 소규모 분양물량들까지 포함하면 분양물량은 더 많을 것이다) 2014년의 분양 물량은 분양가 상한제를 앞두고 밀어내기 분양이 극심했던 2007년을 제외하고는 사상 최고의 분양물량이었다. 그런데 올해에는 2014년보다 44% 가량 늘어난 47.6만 가구까지 분양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도권 지역은 지난해 12만여 가구보다 두 배 이상 많은 27.4만 가구를 올해 분양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1>

 

주) 부동산114 및 국토교통부 자료를 바탕으로 선대인경제연구소 작성 

 

건설업체의 분양물량이 수도권, 그 중에서도 경기지역에 몰려 있는 것은 건설업체들의 미착공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이 대부분 경기지역에 남아 있는 것과 관련이 깊다. <그림1>의 아래 그래프에서 연도별 택지지정 물량을 보면 수도권의 경우 분양가 상한제 시행을 앞둔 2007년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도권 주택시장이 잠시 살아났던 2009~2010년의 택지지정 물량이 급증했다. 그리고 수도권 택지지정 물량의 거의 대부분이 경기도 물량임을 확인할 수 있다. 건설업체들은 이들 택지 물량의 상당수를 PF사업 대상지로 확보했지만, 이후 수도권 주택시장 침체가 지속되면서 사업을 진행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건설업체들이 확보하고 있던 PF 대상 택지들은 잠재적 부실자산으로 전락해있었다. 그런데 정부의 각종 세제 혜택과 대출 완화 정책 등에 힘입어 모처럼 신규 분양시장이 달아오르자 건설업체들이 이를 활용해 잠재부실 상태인 PF사업장을 털어내는 기회로 삼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흐름에 따라 줄곧 감소세를 보이던 전국 미분양 주택가구수는 올해 6월에 전월보다 21% 증가한 3만 4,068가구로 급증했다. 우리 연구소가 연초 발간한 <주택시장전망보고서>에서 경고한 그대로다. 특히 앞서 설명한 대로 분양물량이 쏟아진 경기지역의 미분양 물량이 급증했다. 특히 건설업체들이 물량공세에 나섰던 경기도 광주와 시흥, 용인 등이 미분양 주택 증가를 주도했다. 7월 미분양 주택수는 6월보다 소폭 감소한 3만 3,177가구를 기록했지만, 이는 건설업체들이 공급과잉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미분양 물량을 신고하지 않거나 축소 신고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이런 시기에 신규 아파트를 분양받는 사람들은 건설업체들에게 바가지를 쓰게 되는 꼴이다. 선분양제 하에서 건설업체들은 수단방법 가리지 않고 분양 물량을 주택 수요자에게 떠넘기면 끝이고, 그 이후는 수분양자가 감당해야 한다. 그런데 향후 금리 인상과 2016년 하반기부터 2018년 정도까지 몰아닥칠 "공급물량 충격"을 감안하면 주택 가격이 지금의 분양가보다 떨어지는 지역들이 속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하지만 그 때까지 기다릴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이미 예정돼 있는 글로벌 금리 인상과 정부의 강화된 가계부채 관리 방안 등을 고려하면 당장 내년초부터 주택거래가 급감하면서 주택시장이 다시 침체로 빠져들 가능성이 높다. 물론 지금 당장은 사상 최저 금리의 "금리 바겐세일" 기간이다 보니 소득 여력이 부족한 가계들은 지금이 아니면 대출조차 내기 어려울 것으로 보는 것 같다. 그래서 무리하게 빚을 내 주택을 사는 경우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이 변동금리를 선택하게 되는데, 향후 금리가 인상되면 그 영향이 고스란히 변동금리에 반영되게 마련이다. 따라서 지금의 최저 금리만을 생각해서 무리하게 빚을 내서는 안 된다. 지금이야말로 가장 속기 쉬운 시기이므로 신중에 신중을 거듭해야 한다. 




선대인경제연구소가  출범 3주년과 <슈퍼차이나 리포트> 론칭 기념 파격 이벤트 혜택 제공. <저성장시대, 세계경제의 큰흐름에서 찾는 투자의 기회> <5대 경제이슈 정리 긴급특강> 3종 혜택 기본 제공. 9월 15일까지 D-8일.

 http://www.sdinomics.com/data/notice/4328

by 선대인 2015. 9. 7. 10:22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결과로 삼성물산이 오늘 출범한단다. 할 말 많지만, 시간 관계상 두 가지만.

1. 합병 전 삼성물산 사장이었던 최치훈사장이 초대 이사회 의장이다. 합병 전까지 삼성물산 실적 악화와 주가 하락을 주도했던 인물이고, 제대로 된 주식회사라면 이런 사장은 해임하거나 최소한 좌천시키야 마땅하다. 그런데 통합 삼성물산의 이사회 의장이 됐다. 주식회사에서 경영진은 소액주주를 포함한 전체 주주를 위해 일해야 한다. 그런데 전체 주주보다는 이재용이라는 대주주를 위해서 일하면 이렇게 잘 나간다는 것을 입증했다. 전체 주주의 이익을 저버리고 일개 대주주를 위해서만 일하는 경영진이 있는 회사에 누가 투자하나. 합병 후 제일모직-삼성물산 주가가 30%씩 빠졌던 것도 다 이유가 있다.

2. 이제 삼성재벌일가가 3세 승계 작업을 위해 동원한, 삼성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던 삼성에버랜드는 지난해 제일모직으로 이름을 바꾼 뒤 이제는 삼성물산으로 이름이 또 바뀌었다. '삼성재벌 가족기업'인 삼성에버랜드라는 이름을 자신들도 부끄러워했던 모양이다. 그 이름을 그렇게도 세탁하고 싶었던 모양이다. 자기들도 최소한의 쪽팔림은 아는 것인가.



선대인경제연구소가  출범 3주년과 <슈퍼차이나 리포트> 론칭을 기념하여 <요동치는 세계경제의 위기와 기회> 특집보고서 등 다양한 혜택을 드리는 이벤트(~9/15)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http://www.sdinomics.com/data/notice/4328

by 선대인 2015. 9. 1. 0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