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또 다시 집값 바닥론이 난무하고 있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지금 상황이 너무 위태로운데, 제대로 그 위험성을 경고해주는 분들이 없어서 안타깝습니다. 그래서 지난해 11월 성황리에 진행된 <부동산패러다임 전환기의 생존법> 특강에 이어 저희 연구소가 제2차 부동산특강 <집값 바닥론, 그리고 집 잘 구하는 법> 특강을 준비했습니다. 1차 특강에 참석하신 분들의 의견을 들어 강연 주제를 좀더 일반인들이 실생활에서 직접  고민하는 문제들로 골랐습니다.집값바닥론의 허실을 따져보고 주거고민에 대한 해법을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집값 바닥론에 혹하는 주위 분들께 많이 알려주십시오. 327() 저녁.

 

<강연 차례 및 주제>

 

1: 집값 바닥론의 허실과 2014년 주택시장 상황(선대인소장)

2: 매매와 전월세, 선택에 따른 기회와 리스크 (에듀머니 제윤경 대표)

3: 좋은 집 싸게 구하는 방법과 협상의 기술(선대인 소장)

 

 

자세한 공지사항 및 신청 안내  

http://www.sdinomics.com/data/notice/2035

 

by 선대인 2014. 3. 7. 10:28

 

정부가 2.26월세 대책에서 월세에 과세하는 방안을 내놓았다가 이후 기득권 언론과 부동산업계 등의 반발에 밀려 사실상 대폭 후퇴하는 조치를 내놨다. 처음 월세 과세방안을 정부가 내놨을 때 나는 모처럼 현 정부 정책 가운데 적극적으로 찬성한 바 있다. 집주인들이 세입자에게 세금 부담을 전가하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일부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몇 년 동안 도시형생활주택이나 연립주택, 오피스텔 등의 공급 초과로 월세율이 꾸준히 떨어지고 있어 강남 일부 지역 등을 제외하고는 크게 우려할 만한 상황이 아니라고 봤다. 그러니 월세 가진 집주인들과 부동산업계가 그토록 반발한 것 아니겠는가. 그래서 월세 과세를 도입하기에도 적절한 시기로 보았다.

그리고 근본을 생각해야 한다. 소득 있는 곳에 세금 있다. 근로소득세는... 일정한 소득 이상의 월급쟁이들이 모두 낸다. 그것도 빠져나갈 틈도 없이 원천징수당한다. 그런데 불로소득에 가까운 임대소득을 내는 집주인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집주인이 상대적으로 더 고소득자이거나 자산가인데도 그렇다. 지금까지 등록해서 세금을 내는 극히 일부의 임대사업자들의 경우에도 명목 세율과 상관 없이 각종 비과세 감면 혜택으로 실제 내는 실효세율은 2.48%로 OECD국가들 가운데 네 번째로 낮다. 한 번 생각해 보시라. 이게 조세 형평성 측면에서 맞는 이야기인가.

지난해 세법 개편으로 '유리알지갑'만 세금 부담 는다고, 최근 연말정산 환급금이 줄어 화가 난다고 하는 분들은 월세 과세에 적극 찬성해야 한다. 응당 걷어야 할 이런 임대소득 등에 대한 과세가 이뤄져 다른 세수가 늘지 않으면, 월급생활자 세금과 국민 모두가 내는 부가가치세 등만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지금도 재벌과 주식 큰손들, 부동산 부자들은 합법적인 틀에서든 탈법적이든 막대한 세금을 피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의 소득 양극화는 극심해지고 있는데, OECD국가들 가운데 조세재정에 의한 소득 불평등 완화 효과가 압도적 꼴찌다. 언제까지 이런 현실을 두고 볼 것인가.

더구나 월세 과세는 정부가 의도한 것은 아니겠지만, 다주택자들의 세금 부담을 늘려 집값 거품을 빼는 효과가 있다. 집값 거품이 빠지면 집값을 기준점으로 삼는 전세와 월세 임대료도 떨어지게 돼 있다. 대다수 서민가계에는 실보다 득이 훨씬 많은 조치다.

그래서 어제 정부가 다시 '3.5보완조치' 통해 각종 월세 과세조치에 대해 대폭 후퇴하는 조치를 내놓은 것이 안타깝다. 이 나라에서는 서민들은 수십 년 떠들어도 안 먹히지만, 기득권세력이 떠들면 단 며칠 만에도 보완대책을 내놓는 나라라는 걸 다시 한 번 입증했다.

 

 

 

난무하는 집값바닥론에 솔깃하신가요? <집값 바닥론, 그리고 집 잘 구하는 법>특강에서 주거 고민의 해법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3월 27일 저녁.

http://www.sdinomics.com/data/notice/2035

 

by 선대인 2014. 3. 7. 10:04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수가 2009년 148만명이 넘다가 2012년에 130만명으로. 이게 말이 됩니까? 세계적 경기침체가 지속되고 빈곤층 수독 계속 느는데 기초수급자 수가 준다는 게. 돈이 없었던 것도 아닙니다. 이명박정부의 감세정책 효과는 매년 평균 20조원 정도로 추산됐고, 이명박정부 5년 동안 대기업과 고소득층 위주로 추가로 퍼준 비과세감면 규모가 60조원이었습니다. 22조원짜리 4대강사업을 비롯해 숨겨진 토건사업 규모는 ...노무현정부 말기 때에 비해 20~30% 가량 늘었고요. 도대체 이게 뭐 하는 짓일까요?

외환위기 이후 자살률은 자살률은 계속 높아져 OECD국가 1위가 됐습니다. 외환위기 전 인구 10만명당 자살자 수가 10명 선에서 30명을 넘어섰습니다. 그런데 이 같은 자살률 증가의 근본 이유는 사회경제적 조건의 악화 때문입니다. 제가 강연장에서 만난 한 119대원은 "병이니 가정불화니 겉으로 드러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실제로는 경제적 사정이 안 좋아 자살한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이야기합니다. 부동산 가격 폭등과 고용불안, 양극화, 등록금 앙등 등 서민가계, 특히 저소득층의 경제적 사정은 계속 악화돼 왔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부끄럽게도 이처럼 빈곤선으로 추락한 이들을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도 제대로 마련하지 못 했습니다.

이처럼 '세 모녀 자살사건'뿐만 아니라 계속 잇따른 자살행렬은 명백히 '정책적 타살' 입니다. 단순히 복지와 사회안전망이 부족한 탓만으로 환원할 수는 없으나 이것이 생존의 최후 보루가 되는 상황들을 숱하게 보게 됩니다. 아직도 복지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는 사람이 400만 명으로 추산되고 OECD국가들 가운데 공공사회복지 지출이 멕시코에 이어 꼴찌인 나라의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그런데도 기득권 선동 정치인들은 '망국적인 복지 포퓰리즘'을 운운하고, 기득권 언론들은 '복지에 퍼주다 망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들이야말로 정말 '공공의 적'이 아닐 수 없습니다. 정말 심각한 문제입니다. 지금도 사회경제적 양극화가 극심한 가운데 빈곤층이 최후 수단으로 기댈 곳이 없는 사회에서 저출산고령화 충격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쓰나미처럼 닥치고 있는 나라. 지금이라도 정부와 정치권에서 획기적으로 복지를 강화해야 하는데, 이 놈의 조류 정권은 '돈이 없으니 참죠?'만 되풀이 하고 있으니 정말 분노가 치밉니다. 부동산이나 토건, 재벌퍼주기에 관한 한 돈이 화수분처럼 생겨나는 나라에서 복지와 교육 쪽으로만 오면 돈이 없다니 이게 말이 됩니까?

지금처럼 자살로 포장되는 '정책적 타살'은 결국 공동체의 노력과 선택으로 바꿀 수밖에 없습니다. 소수 기득권 세력을 제외한 우리 대다수 국민들은 준비돼 있습니다. 이걸 정치적으로 제대로 대변해주는 정치세력이 나오길 바랍니다. 그런 점에서 이번 지자체 선거에 나서는 야권과 각 후보들은 선명한 복지 강화 노선을 분명히 내세우길 바랍니다. 지난 대선에서 '복지 강화'와 '경제 민주화'를 강조했다가 졌다는 일부 야권 정치인들은 차라리 이 기회에 새누리당으로 가버리기 바랍니다. 기득권 본당인 새누리당과 차별화되지 않는 야권은 국민의 지지를 받을 자격이 없습니다. 시대의 요구와 명령을 거부하는 정치인은 하루빨리 퇴출되는 것이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좋습니다.

 

최근 많은 분들이 불안해 하고, 한편으로는 요청을 하셔서 <집값 바닥론, 그리고 집 잘 구하는 법>특강을 개최합니다. 3월 27일 저녁. http://www.sdinomics.com/data/notice/2035 

 

by 선대인 2014. 3. 6. 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