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2010/07/02에 해당되는 글 2건
- 2010.07.02 트위터 사용자들이 고른 휴가때 읽을 책 100선 61
- 2010.07.02 현직 금융권 대출업무 종사자의 주택대출 경고 138
SERI나 일부 언론의 추천 도서목록에도 일정하게 ‘이해관계’나 ‘권력관계’가 작용합니다. 그래서 평범한 일반인들의 추천 도서를 직접 모아보자고 제안해 7월 1일부터 이틀 동안 추천 도서를 취합한 결과 풍성한 목록이 완성됐습니다. 제안주신 책들 대부분이 모두 군침이 도는(?) 책들입니다. 추천된 책 가운데는 ‘정의란 무엇인가’가 가장 많이 추천됐고요. ‘삼성을 생각한다’ ‘나쁜 사마리아인들’ ‘불편한 경제학’ ‘그리스인 조르바’ 등이 복수 추천됐습니다. 제가 곤혹스러워할 것을 염려해서인지 ‘위험한 경제학’은 아무도 추천 안 해주시는 배려(?)를 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소개에 앞서 저도 10권 정도 추천드리겠습니다. 휴가철 분위기에 맞게 여행서와 비교적 가볍게 읽을 수 있으면서도 생각할 거리들을 주는 책으로 골랐습니다.
1. 사색기행(다치바나 다카시, 사색기행)
2. 아메리카 자전거 여행(
3. 체게바라의 모터사이클 다이어리(체 게바라, 황매)
4. 나의 산티아고, 혼자이면서 함께 걷는 길(
5. 정의의 길로 비틀거리며 가다(리 호이나키, 녹색평론)
6. 칼의 노래(
7. 디지털 네이티브(돈 탭스곳, 비즈니스북스)
8. 아침 꽃을 저녁에 줍다(노신, 이욱연 편역, 창)
9. 세계일주 바이블(
10. 테스(토마스 하디): 중2 여름방학 때 부모님 농사일을 도우며 점심 때 낮잠을 아껴가며 읽었던 소설. ‘밑바닥 인생’들의 고통과 비애를 잊지 않기 위하여.
이제 목록 소개합니다. 보내주신 목록은 가장 최근에 트윗을 보내주신 분들의 글부터 긁어서 그대로 정리했습니다. 다소 정리 모양새가 안 예쁘더라도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faithonair(Jeongho Kim) @kennedian3 제가 다른때문에 조금늦게 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부소장님께 추천하고 싶은 책이있는데요 Arthur 의 path dependency 라는책입니다 아파트의 역사적 형성과정을 path dependency 로 설명해 보는것은 어떤지요
faithonair(Jeongho Kim) @kennedian3 시간이 허락하시면 power in land도 같이 추천합니다
SaRamSaii(사람사이) @kennedian3 헨리 조지 진보와 빈곤, 칼 폴라니 거대한 전환, 이마뉴엘 월러스틴 세계체제 분석, 세계를 보는 시선과 관련 됩니다. 쉽게 읽기로는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총균쇠, 문명의 붕괴는 어떨까요
ghanq(
ryulidwina(
Minnooooo(Dreamer) @kennedian3 늦었지만 추천합니다.. 빌브라이슨의 '나를 부르는 숲', '발칙한 유럽산책', 이 더운 여름 시원하게 웃을 수 있는 책입니다
junyongseo(junyongseo) @kennedian3 지금도 가능하다면 오래된 미래 추천합니다 무거운 주제지만 많이 생각하게 하면서도 쉽게 읽히는 책
2jaewook(Jaewook Lee) @kennedian3 제레미 러프킨의 "소유의 종말" 추천합니다. 워낙 유명하니 이미 읽으셨을 수도 있겠네요.
kkwshout(Gyeong Woo Gu) @kennedian3 심리학자 리처드 리스벳의 인텔리젼스를 추천하고 싶습니다 신문보다 읽기 쉽게 번역되었고 지능의 유전과 교육 ㅡ 사회환경과 교육을 잘 풀어낸 책입니다 더 나아가 한국적 교육환경에 적용해봐도 여러 논제가 나올만한 책이라 생각합니다^^
SoohyonKim(Soohyon Kim) @kennedian3 부소장님, 리차드 니스벳 교수의 '생각의 지도' 추천합니다. 동서양 사고가 어떻게 다른지 실험으로 입증한 책인데, 저는 세상을 보는 안목을 조금은 넓힐 수 있는 좋은 책이라 생각합니다.
wowsns(Taewan Sung) @kennedian3 '
szzing(Son Zzing) @kennedian3 책추천드립니다1.대부(영화대부의원작)2.삼성을생각한다3.제1권력 모두흥미진진합니다
Keneth0113(Kenny) @kennedian3 Keneth0113(Kenny) @kennedian3 저는 요즘
treehous(경) '남자보다 개가 더 좋아' 애완동물 키우는 분들이 많아지므로 키우지 않아도 한번 읽어보면 좋을듯 해요
mhkim92(산골소년) @kennedian3 PD수첩 진실의 목격자들 http://yfrog.com/0rdbglj
kwlee7(
choiyongju(
cocoon5(cocoon5) @kennedian3
SaYounseok(younseok, sa) @kennedian3 의료사유화의 불편한 진실,100도C(
yangfund(
monk_william(leejongki) @kennedian3 ' 이별에도 예의가 필요하다 (
cachoxm(조종암) 경영의 미래-게리하멜, 링크-바라바시, 혼창통-
joohongjin(
imsouthpaw(
xcode1st(tony.kim) 외롭고 힘든 사십대에게 권하고 싶은 책-마흔의 심리학
umlaut22(Om) @kennedian3 저는 이미 많른 분들이 읽어보셨겠지만 위화의 <인생>과 <허삼관 매혈기>요! 그리고 조선 실학자였던 이덕무의 선집이요
delcui(Hyeil Kim) @kennedian3 "아이를 잘 키운다는 것" -노경선 저: 부모라면 필독! "
bugchaser79(shinoda79) @kennedian3 톰 벤더빌트 <트래픽> : 운전 습관과 교통체계에 숨겨진 인간의 비이성적 본성 탐구! 추천합니다. 이 책 읽고 나면 운전하다가도 인간의 본성과 사회 문화적 논리의 관계를 고민하게 됩니다.
joonseonahn(새솔) @kennedian3 쓰지 신이치의 행복의 경제학(서해문집)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leehoon(hoon lee) @kennedian3 남쪽섬으로 떠나는 무정부주의자가족의 여행, 오쿠다 히데오의 <남쪽으로 튀어>추천합니다.
yuopyuop(yun, bo hyun) @kennedian3 "술취한 코끼리 길들이기" "Ajan Brahma 저,,류시화 역"
abarley11(가을보리(
armsjeong(Byeong Gi Jeong) @kennedian3 윤소영지음, 2007-2009년 금융위기(공감출판사) 추천... 비슷한 내용이긴 한데요... 2007-2009년 금융위기 논쟁(공감출판사)도 잼 있습니다.
DaejunChung(
doohai(doohai) @kennedian3 성석제작가의 인간적이다. 재밌습니다.
digitalgap(Hong Kyu, KIM) @kennedian3 저는
waytoyou(KC Park) @kennedian3 존 휘트모어가 쓴 "성과 향상을 위한 코칭 리더십"을 추천합니다. 시대를 거슬러 지시적이고 일방적인 리더십이 난무하는 요즘 이 사회의 리더라는 분들이 한번 봐주었으면 하는 책입니다
kempforever(차종평) 개인적으로는 지식채널 e를 추천합니다.
saesaerosom(놀神) @kennedian3
shoutliberty(YONGHYUN KOO) @kennedian3 좀 무거울지 모르겠는데 헨리 조지의 '진보와 빈곤' 추천합니다 토지문제에 관심을 갖게 만든 책.저자가 독학으로 이런 책을 썼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여서 교육이란 대체 뭔가도 고민하게 만든 책입니다
ssagundo(Yoonseop Song) @kennedian3 사람들의 심리가 경제에 반영되어 더욱 급변한다는 것을 조금 쉽게 설명한 '야성적 충동' 추천합니다~ 벌써 다들 읽으셨을라나요? ㅋ 기간이 좀 된 책이긴 한데요..^^
jwedu(지원교육) RT 이야기가 세상을 바꾼다
Reynold_choi(Geon Choi) @kennedian3
gunjae(Gunjae Koo) RT 폴 트루니에의 "모험으로 사는 인생"이요..
semilabb(Jong-Kwan LIM) @kennedian3 올해 읽은 최고의 책, "그리스인 조르바" 추천합니다.
mirooahn(
BlueBlueBack(
widebluesea(들풀처럼) @kennedian3 [슬픈 열대] 1. 묵직하니... 폼난다. 2. 따듯한 사회과학이 어떤 것인지 만날 수 있다. 3. 남비콰라족의 이야기는 되새겨볼만하다..... 저도 다시 한 번 읽고 싶답니다. ^^
powerchc(
kimsajang(KIM, young woo
ilovesoseo(ilovesoseo) "스위치 -칩히스,댄히스-" 추천합니다. ^^ 스위치"는 히스형제(칩히스,댄히스)의 책이구요~ 내용은 "세상의 모든 성공적인 변화 뒤에는 공통의 패턴이 있다"는 거죠~ 심리적으로 잘 풀어썼고요~ 우리의 일상 행동을 변화시킬수 있는 예를 많이 들어있어서요~^^
Ina_Kim(Inhwa Kim)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 추천합니다.
doddle16(Jaehoon Yoon) @kennedian3 정의란 무엇인가(마이클 샌델)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Progress1012(Yoo Byung Ki) 추천! 정의란 무엇인가 Justice 마이클 샌델 강추 합니다
Strawberry_Dad(딸기아빠) @kennedian3 영어능력되시는 분들은 니알 퍼거슨의 The Ascent of Money도 괜찮을 듯. 저는 반쯤 읽다가 너무 힘들어 포기..그치만 능력만 되면 제가 번역해 보고 싶더라구요. 번역본은 없는 듯. http://j.mp/cBL1eK
Strawberry_Dad(딸기아빠) @kennedian3 신시아브라운의 Big History 어떨까요? 인간중심의 편협한 세계관에서 벗어나서 사고하고 바라보는 법을 가르쳐 주는것 같습니다.http://j.mp/cUjUU4
einetee(kim,jinyong) 그래픽노블 어둠의도시 시리즈.
mega29(JooSeong Park) @kennedian3
freshphase(세상박론) 전 크리스하먼의 '민중의 세계사' 추천합니다
choiyongju(
kyung96(kim kyung hwan) RT '정의란무엇인가' _마이크샌델 추천!!@
inamu(나무) <눈물의 땅, 팔레스타인> 김제명
samariain(사마리아인) @kennedian3 팀하포트의 경제학콘서트 시리즈 추천합니다.
msetr(문성은) @kennedian3 불편한. 경제학. 추천이요. 술술. 읽혀요
jayuin_jjinjja(Park Jong-Seon) @kennedian3추천서로서는,,, 쑹훙빙_화폐전쟁, 존 퍼킨스_경제저격수의 고백, 김원장_도시락경제학, 구스타보 르봉_군중심리... 여름 휴가에 읽을 책 치고는 딱딱한가요? ^^; 법정스님의 무소유 도 좋지요??? ㅎㅎ
eunju0827(
blawgu(Min H. Gu [구민회]) @kennedian3 추리소설: 루팡의 소식 - 결론이 이렇게 나리라고는 예측하기 어려웠다. 단숨에 읽었다. 영어소설 법정스릴러: the brass verdict. '링컨차를 타는 변호사'보다 더 재밌다.
sunshiner7(
doohai(doohai) @kennedian3 마이크 샌덜. 정의라는 무엇인가. 강추합니다.
Bluebird2thesky(Kang, Hyejin) @kennedian3 인권이라는 정의를 지키려는 예일대 한국계 교수와 대학원생들의 실화를 옮긴 브란트 골드스타인의 '치열한 법정' 인가의 뇌에 대해 거시적 미시적으로 접근한
dbmarketer(Hwang, In Chan) @kennedian3 아직 다 읽지는 못했지만,
hangaroi(bo san lim) @kennedian3 거꾸로생각해봐 세상이많이달라보일껄 추천합니다
ssagundo(Yoonseop Song) @kennedian3 야성적 충동 재밋던데요~
Kdragon80(Yonghun, Kim) @kennedian3: 칼세이건의 코스모스 추천합니다~ 우주의 시작에서 부터 미래까지, 인간에서 저 광활한 우주의 끝까지, 시간과 공간을 넘어 이과생이 아니라도 알기 쉽게, 참 아름답게 썼죠
DooTak(Tak Donghyun) @kennedian3 저는 "30년만의 휴식" 추천합니다.^^ 휴가는 지금껏 살아가는 모습을 잠시 돌아보는 시간이니~ 휴식의 코드가 맞는거 같아요~ 수고하세요~
anything_else(anything_else) @kennedian3
jjondegi(Jong Keun, Jang) @kennedian3 고민하는 힘-
abarley11(가을보리(
almondcho(
realflower(Jina Lee) 요시모토바나나의 '무지개'추천합니다^ㅡ^
pjh0169(Jaehyun Park/
newsgraph(Chris) RT 저부터 동참 정의란무엇인가? , 분노의지리학
shdoh(SH Doh) 나쁜 사마리안인들 - 장하준 ::
skullo80(skullo80) @kennedian3 왓치맨요 ㅋ 매일 경제, 자기계발서 이런거만 읽지 말아야될 것 같기도 하고 왓치맨의 암울한 상황이 우리나라랑 겹치는 것 같기도 해서요 ^^
트위터를 하시는 분들은 http://twitter.com/kennedian3로 저를 팔로우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트위터를 지난해 하반기부터 개설했지만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한달 전부터입니다. 향후 제가 아고라와 제 블로그(다음뷰), 오마이뉴스, 네이버 부동산, 한겨레신문 등에 연재하는 글뿐만 아니라 각종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합해서 매일 소개할 생각입니다. 참고바랍니다.
모든 사람이 땀흘린만큼 제대로 대접받는 건전한 민주주의 시장경제 건설을 위한 좀더 의미 있는 토론과 참여를 원하시는 분들은 김광수경제연구소포럼(http://cafe.daum.net/kseriforum)을 방문해주십시오.
이미 뉴스 등을 통해 보신 분들이 많겠지만, 저의 제안으로 그저께 저녁인 6월 30일 저녁에 열린 주택문제에 관한 트위터 집단간담회를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어제 집단간담회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매우 성공적인 행사였다고 이구동성으로 말하는군요. 이미 제 트위터를 통해 많은 분들이 호평해주셨고, 다음에 같은 기회를 한 번 더 만들어달라고 요청하셨습니다.
그제 토론회는 직접 의견 주신 분들만 수백명에 이르고, 각종 트위터 검색어나 태그 순위에서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또 다양한 분야의 많은 분들이 생생한 현실과 절절한 고민, 그리고 수준 높은 의견들을 주셔서 질적으로도 매우 훌륭한 토론이었습니다.
또 이 행사에 관한 미디어오늘의 소개 기사 http://is.gd/daKas 는 어제 하루에만 조회 수가 70만명을 넘었다고 하는군요. 조금 늦게 게재된 오마이뉴스 기사도 많은 분들이 읽었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409020&CMPT_CD=M0006
기사뿐만 아니라 어제 주택문제에 관한 집단 간담회 내용이 다음 두 링크에 정리돼 있으니 꼭 한 번 들어가서 보시기 바랍니다. http://tinyurl.com/36fzzd3 http://is.gd/db4J2 최근의 주택시장 상황을 선동 보도가 아닌 생생한 일반인들의 목소리로 직접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저도 간담회 내용을 통해 정말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그런데 그제 트위터 간담회에서 가장 화제가 된 분은 현재 금융업계에 중견 간부로 계시는 김모 선생님이었습니다. 이 분은 현직에 계신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주택대출 상황과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강하게 경고하셨습니다. 어제 간담회를 소개한 미디어오늘과 오마이뉴스의 기사들이 이 분의 글 내용을 제목과 첫머리에 다루고 있는 것도 이 분의 말씀이 그만큼 강렬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이 분의 경고를 한 번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사실 이 분은 저와는 트위터에서 몇 번 글을 주고 받은 적이 있습니다. 우선, 어제 간담회 이전에 제게 온 트윗 내용을 소개합니다.
제 생각에 국민들이 과도하게 대출해서 아파트 투기를 하는 행위를 막으려면 대출에 있어서만 한정한다면, 거치기간제도를 반드시 없애야 합니다.3년뒤 뻥튀기해서 팔 생각으로 이자만 3년간 낸다는 생각으로 아파트를 산 온거거든요.
저도 금융권에서 대출을 담당하지만 금리가 오르기 시작하면 심각한 상황이 올 것 같아 두렵습니다.낮은 금리로 버티고 있던 집주인들이 매물을 쏟기 시작하면 집값 폭락할 것 같습니다.지금도 분당,용인 경매물건은 원금손실 나거든요
|
우리 회사의 경우, 작년 11월부터 아파트대출이 감소세에 있습니다. 평균 LTV는 낮지만, 고LTV대출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게 문제지요. DTI가 풀리더라도 대출이 폭풍처럼 늘지는 않을 겁니다. 연체율이 슬슬 오르고 있기 때문에 말이지요
이번에는 트위터 간담회 때 그 분이 쓰신 트윗 내용을 순서대로 정리해 봤습니다.
#주토_ 앞으로 아파트 가격은 소폭의 등락은 있겠지만 대세는 하락으로 전망됩니다. 지금 우리 회사도 리스크 관리를 최우선으로 삼고 대출을 하고 있습니다.과거에는 실적경쟁이 우선이었지만...폭락은 없을 것이다라고 애써 생각하지만 속으로는 폭락할까봐 마음이 조마조마합니다
#주토_ 40년간 아파튼는 서민들의 주요 재테크수단이었음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월급쟁이가 몇억의 재산을 불릴 수 있었던 것도 아파트 덕이었죠. 이런 투기를 못하면 무능한 남편,아내였죠.하지만 이건 전혀 비상식적인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입니다.이제 상식적인 사회로 가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주토_ 자동차를 1년마다 바꿀 요량이 아니라면 중고자동차 시세에 민감할 필요가 없듯이 내가 내 집에서 가족과 함께 오랫동안 살 집을 마련한 분이라면 집값에 민감하지 않습니다.
#주토_ 신문사들의 광고수입중 30% 내외가 아파트 광고였습니다. 요즘은 아니겠지만요. 신문사들은 끊임없이 투기를 찬양하고 건설업자를 편들어서 광고수입을 올리려 합니다. 미분양적체면 그대로 쓰면 될 것을 꼭 ‘알짜 미분양 넘친다’라고 제목을 뽑죠. 드러운 넘들입니다
#주토_ 사람들이 이자 무서운 줄 모르고 집값이 곧 왕창 오르겠지 하고 빚을 왕창 내어 분수에 맞지 않는 아파트를 사곤 하는데요..제가 대출질만 20여년 하면서 최근에 느낀 것은 <이자는 일요일도 쉬지 않는다>는 겁니다. 연체가 두달이 되면 원금 전체에 대하여 20%의 이자가 붙어나갑니다.이건 뭐..자살 생각이 절로 나지요.
#주토_ 미국과 우리나라 법의 차이가 있는데요.미국의 모기지론은 집이 경매에 부쳐지면 집을 날리는 것으로 끝나는데,우리나라는 경매로도 받을 금액이 부족해지면 그 집 소유자가 죽을 때까지 쫓아다니면서 받아낼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주토_ 우리나라의 아파트 투기붐은 일종의 심리요 세뇌였습니다.부패한 정권과 간악한 토건족과 비양심적인 언론과 쉽게 돈벌려는 금융권과 악질 투기거래꾼과 사이비전문가의 카르텔이었습니다.이들이 야바위판을 깔면 애꿎은 서민들이 끌려들어가서 피고름을 흘리는 형국이지요.지금도 여전히 "집값 떨어지면 서민이 더 고생이다"라고 끊임없이 언론플레이를 하고 있습니다.집값 떨어지면 투기꾼이 고생이지 서민은 관계없습니다.
#주토_ 아파트에 대한 언론의 삐끼질은 부소장님 글을 보면 충분히 알 수 있고요, 저같은 금융맨들도 많은 반성이 필요하죠.제가 죽일 놈입니다.그놈의 월급받으려고 못할 짓 많이 했습니다.우리나라도 돈을 꿔주는 금융기관에 대하여 함부로 돈을 꿔주지 못하도록 규제를 강화해야 합니다.어맹뿌가 이걸 오히려 풀려고 눈치보고 있죠
#주토_ 지난번 pd수첩에도 나왔지만 수도권에는 이미 비참한 하우스푸어들이 많습니다.이걸 메이저언론에서 숨기고 있을 뿐입니다.오히려 <지금 파는 건 곤란하다.집값이 조금 있으면 오를 것이다>라는 암시를 끊임없이 보이고 있죠.망할 언론과 정부에서요.국토부까지 나서서 우리나라는 거품이 아니라고 하니..
#주토_ 아파트도 손절매가 필요합니다.지금 가격을 많이 낮춰서 팔 수 있다면 잽싸게 팔고 전세로 들어가야 합니다.조금 더 기다리면 월세보증금 ,조금 더 기다리면 마이너스 자산으로 길거리에 나앉게 됩니다.2005년 이후 빚 왕창 땡겨서 1기 신도시를 비롯한 용인에 아파트 사신 분들에 대한 경고입니다.
#주토_ 수억원의 거품가격을 부담하고 이자를 내면서 은행 종살이를 하느니 2년마다 이사 다니면서 유동자금을 마련하는게 재테크로도 낫습니다.
#주토_ 삐끼언론들이 유난히 강조하는 것이 "집 없는 설움"인데요.저는 아파트 투기도 해보고 오피스텔 투기도 해봤지만 가장 편한 때가 지금입니다.빚도 없고 집도 없어서 너무 편안합니다.오직 걱정하는 분은 우리 어머니죠. 아직 집도 없다고...
#주토_ 오늘 토론은 이걸로 접겠습니다. 사실 제가 오늘 부장으로 승진했거든요. 후배들 소주 사 주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서민들 피고름 흘리게 하고 승진해서 죄송합니다.
트위터를 하시는 분들은 http://twitter.com/kennedian3로 저를 팔로우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트위터를 지난해 하반기부터 개설했지만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한달여 전부터입니다. 향후 제가 아고라와 제 블로그(다음뷰), 오마이뉴스, 네이버 부동산, 한겨레신문 등에 연재하는 글뿐만 아니라 각종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합해서 매일 소개할 생각입니다. 참고바랍니다.
모든 사람이 땀흘린만큼 제대로 대접받는 건전한 민주주의 시장경제 건설을 위한 좀더 의미 있는 토론과 참여를 원하시는 분들은 김광수경제연구소포럼(http://cafe.daum.net/kseriforum)을 방문해주십시오.